728x90
맥북 아키텍처(Intel, M1, M2) 확인하는 방법
애플은 2020년부터 자체 설계한 Apple Silicon 칩(M1, M2 등)을 탑재한 맥북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Intel 기반 맥북을 사용하고 있거나, 중고로 구매한 경우 어떤 아키텍처인지 헷갈릴 수 있다. 맥북의 아키텍처를 확인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고, 관련된 개념을 이해해보자.
1. 맥북 아키텍처 확인 방법
터미널로 빠르게 확인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sysctl machdep.cpu.brand_string
(1) ‘About This Mac’에서 확인하기
- 화면 왼쪽 상단의 애플 로고(\U0001f34e)를 클릭한다.
- "About This Mac(이 Mac에 관하여)"을 선택한다.
- "Overview(개요)" 탭에서 프로세서 정보를 확인한다.
- Intel 칩을 사용하는 경우 "Intel"이라는 단어가 표시된다.
- Apple Silicon 칩(M1, M2 등)을 사용하는 경우 "Apple M1", "Apple M2" 등으로 표시된다.
(2) 시스템 리포트(System Report) 확인하기
- "About This Mac" 창에서 "System Report(시스템 리포트)" 버튼을 클릭합니다.
- 좌측 메뉴에서 "Hardware(하드웨어)"를 선택합니다.
- "Processor Name(프로세서 이름)" 또는 "Chip" 항목에서 칩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터미널 명령어로 확인하기
터미널 명령어를 사용해 보다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 터미널 앱을 실행한다. (Spotlight에서 "터미널" 검색)
-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 결과가
x86_64
이면 Intel 아키텍처를 의미. - 결과가
arm64
이면 Apple Silicon(M1, M2 등)을 의미
- M2이면
machdep.cpu.brand_string: Apple M2
이 출력
- 결과가
sysctl machdep.cpu.brand_string
uname -m
2. Intel 칩과 Apple Silicon 칩의 차이점
맥북 아키텍처를 확인하는 것은 단순히 호기심을 넘어, 성능 및 호환성 측면에서 중요하다. 아래는 Intel 칩과 Apple Silicon 칩의 주요 차이점이다.
특징 | Intel 칩 | Apple Silicon 칩 |
---|---|---|
아키텍처 | x86 (CISC) | ARM (RISC) |
전력 효율 | 비교적 낮음 | 매우 높음 |
성능 | 고성능 작업에서 강점 | 높은 성능과 전력 효율을 동시에 제공 |
소프트웨어 호환성 | 오래된 macOS 및 Windows 호환 | 대부분 macOS 최적화 |
3. Rosetta 2가 뭐야?
만약 Apple Silicon 맥북을 사용하면서 Intel 기반 소프트웨어를 실행해야 한다면, macOS에 내장된 로제타 2(Rosetta 2)가 필요하다. 이는 Apple Silicon 칩에서 Intel 전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변환(에뮬레이션)해주는 도구이다.
Rosetta2 특징
- 자동 실행: 사용자가 별도로 실행하지 않아도 Intel 기반 앱을 열면 자동으로 작동한다.
- 성능: 기존 에뮬레이터와 달리 빠른 속도를 제공한다.
- 호환성: 대부분의 Intel 소프트웨어를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4. 정리 및 추가 팁
맥북의 아키텍처를 확인하는 이유.
- 호환성: 특정 소프트웨어가 Intel 전용인지, Apple Silicon 최적화인지 판단할 수 있다.
- 성능: Apple Silicon 칩이 더 높은 전력 효율과 성능을 제공하므로, 기기 선택 시 참고할 수 있다.
추가
-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앱 스토어나 개발자 웹사이트에서 Apple Silicon 전용 버전이 있는지 확인할 것.
- 업그레이드 계획: Intel 기반 맥북을 사용 중이라면, 미래의 macOS 지원 종료를 대비해 업그레이드를 고려할 수 있다.
728x90
'Web Frontend > setting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초기 설정 (--global 옵션) (0) | 2025.01.18 |
---|---|
homebrew란? 빠르게 알아보자 (homebrew 설치) 🍺 (4) | 2025.01.17 |
내가 보려고 만든 FE개발자가 맥 초기화 후 해야할 일 ( macOS 기준, M2 ) (1) | 2025.01.17 |
gitlab SSH key 만료되었을 때, 재등록 Your SSH key has expired. (0) | 2025.01.14 |
맥 터미널에서 VScode 실행하기(feat. zsh: command not found: code 에러까지) (1) | 2025.01.02 |